고교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성과 분석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6, Vol. 19, No. 0, pp. 00~00 |
고교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성과 분석 류 영 철(경남교육연구정보원 책임연구원) |
<요 약>
본 연구는 고교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의 성과 분석을 통해 고교의 진로진학지도에 도움을 주고, 대학 학생부전형 서류평가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됐다. 이를 위한 두 단계의 절차는, 첫째, 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각 영역별 창의적 체험 활동에서, 고교별로 공통으로 나타나는 활동과 각 학교별 특색 있는 창의적 체험 활동을 활용하여 설문문항을 도출하고,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문항용 체득 역량을 구성했다. 둘째, 성과로서의 교육과정을 학습자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도출된 설문문항과 체득 역량을 활용하여 창의적 체험 활동에 대한 고교생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평가하고 있는 창의적 체험 활동의 영역별 체득 역량을 정리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의미 있는 자율 활동은 동아리 발표회, 학생회의 순이었다. 체득역량은 협동능력, 공동체의식 순이었다. 둘째, 의미 있는 동아리활동은 과학탐구활동, 봉사활동 순이었다. 체득역량은 협동능력, 관계형성능력 순이었다. 셋째, 의미 있는 봉사활동은 학습부진 친구 돕기, 노인 돕기 순이었다. 체득 역량은 타인 이해 및 배려 능력, 관계형성능력 순이었다. 넷째, 의미 있는 진로활동은 대학전공체험, 적성검사 순이었다. 체득 역량은 진로탐색설계능력, 자기성찰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 창의적 체험 활동, 고교 교육과정
Ⅰ. 서론
2007년 시범사업 기간을 거쳐 2008년 본격적으로 입학사정관제 지원 제도가 시작된 이후 학생부종합전형(舊, 입학사정관전형)은 기존의 교과 내신 성적만이 아니라 비교과 활동을 통해 학생의 잠재력, 인성 등을 선발에 주요하게 반영하고 있다. 이에 학생의 성장, 발달과정을 기록한 학교생활기록부(이하, 학생부)가 서류평가의 가장 중요한 평가 자료로 대두됐다.
학생부는 학생의 고교 3년간의 교과영역 뿐만 아니라 창의적 체험 활동(이하, 창체 활동),
1
고교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성과 분석 연구
출결, 수상실적, 봉사활동, 독서활동 등의 비교과 영역의 과정과 성취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그 중에서도 학생이 지닌 다양한 소질과 잠재력을 종합적으로 살펴 볼 수 있는 창체 활동 기록에 대한 평가 비중은 주요 대학들의 학생부종합전형 모집 인원의 확대와 진로활동에서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 강조, 담임교사의 학생부기록비중이 증가되는 현실을 반영한 비교과 교육과정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더욱 높아졌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여전히 학생부의 진실성, 각 대학에서 서류평가의 타당성 등의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학생부의 기록을 각 대학이 서류 평가에 어떻게 구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는 미미한 것이 사실이다.
Ⅱ. 이론적 배경
1. 교육과정의 설계
가. 창의적 체험
교육과정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택된 교육내용과 학습활동을 체계적으로 편성・조직한 계획이다. 교육과정은 학교교육을 통해서 도달해야 할 교육목표, 학습내용의 범위(scope), 계열(sequence)로 구성되며, 학생들에게 관련된 학습경험을 하도록 하기 위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지원활동 등의 지침들로 구성된다(소진형, 2013). 학교교육과정의 개념이 도입된 제6차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하여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자율권이 확대되었으며, 특히 2009개정교육과정에서는 교육과정편성·운영의 자율권이 대폭 이양됐다.
김호권(1997)은 교육과정을 세 수준으로 구분한다. 첫째, 공약된 목표로서의 교육과정은 의도된 교육과정으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기준 고시, 시·도교육청수준의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지침 등이 이에 속한다. 둘째, 수업 속에 반영된 교육과정으로 현장 교사에 의하여 공약된 목표로서의 교육과정이 수업에서 전개되는 것이다. 셋째, 학습 성과로서의 교육과정은 실현된 교육과정으로 학습에 참여한 학생들이 실제 갖게 되는 경험 및 성취를 의미한다(박의수외, 2010).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고교 교육과정 분석에서 학습 성과로서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성과를 학습자 관점에서의 실제 갖게 되는 경험과 성취(체득)역량으로 개념적으로 정의하고 분석 하고자 한다. 성과로서의 교육과정 분석은 학습자 설문 조사를 통한 연구를 통해 창체 활동의 실행 양상을 분석 하고자 한다.
2
고교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성과 분석 연구
나. 창의적 체험 활동
1) 창의적 체험 활동의 운영
창의적 체험 활동은 교과 위주의 학교 교육활동에서 벗어나 창의성과 인성교육을 배양하는 다양한 체험중심의 교육을 통해,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기능을 골고루 갖추도록 하는 교육과정이다(소진형, 2013). 창체 활동은 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의 네 영역으로 구분된다. 학생부종합전형 서류평가에서 창체 활동은 주로 인성 영역과 전공적합성 영역에서 평가된다. 인성영역은 주로 자율과 봉사활동을 보고, 전공적합성 영역은 동아리와 진로활동을 평가한다(이가영외, 2012). 창체 활동은 학교의 자율권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영역이며, 학교의 노력과 의지에 따라 다른 학교와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운영할 수 있다.
2) 교육과정
학교에서는 학생의 소질과 특기, 관심 분야, 미래 진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창체 활동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해야 한다(소진형, 2013). 창체 활동은 24단위(408시간) 이상 편성 운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창체 활동은 학생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학년별로 활용영역 및 내용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나, 특정영역이 제외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창체 활동은 학교의 필요에 따라 기준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확보하여 운영할 수 있으나, 기준시간 이하로는 감축할 수 없다(소진형, 2013).
<표 Ⅱ- 1> 고교 교육과정 이수단위(교육부, 2014: 2014학년도 신입생 적용 일반고, 특목고)
구분 |
교과 영역 |
교과(군) |
필수이수단위 |
학교자율과정 |
보 통 교 과 |
기초 |
국어 |
10 |
학생의 적성과 진로를 고려하여 편성 |
수학 |
10 |
|||
영어 |
10 |
|||
탐구 |
사회(역사/도덕 포함) |
10 |
||
과학 |
10 |
|||
체육 ‧ 예술 |
체육 |
10 |
||
예술(음악/미술) |
10(5) |
|||
생활 ‧ 교양 |
기술‧가정/제2외국어/한문/교양 |
16(12) |
||
소계 |
86(77) |
94(103) |
||
창체 활동 |
24(408시간) |
|||
총 이수 단위 |
204 |
* ( )안의 숫자는 특수목적고만 해당됨.
3
고교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성과 분석 연구
2. 핵심 역량 기반 교육과정
최근에 직업교육이나 학교교육에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는 역량이란 용어는 1920년대 과학적 관리의 창시자라 불리는 Taylor가 업무를 세부적인 구성요소로 나눌 것을 제안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했다(이홍민, 2003). 현대적인 역량의 개념을 정립한 것은 성취동기이론으로 유명한 맥클랜드(McClleland)로서 성공적인 업무 수행자와 평균적인 업무수행자를 비교해서 성공과 관련된 특성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이광우 외, 2009).
직업사회의 필요에 의해 등장한 역량 개념이 일반적인 삶의 질과 관련된 논의로 발전한 것은 OECD가 진행한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프로젝트를 통해서다. OECD가 진행한 DeSeCo 프로젝트는 역량을 직업 분야가 아닌 인간 전체의 삶과 관련지음으로써 역량이 우리의 전체적인 삶의 질과 관련하여 중요하다는 점을 일깨워줬다. DeSeCo 프로젝트에 따르면 역량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첫째, 인지적·비인지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심리사회적 특성을 활성화함으로써 어느 특정한 상황에서의 복잡한 요구에 성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 둘째, 단순히 ‘~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아니라 개인에게 내재되어 있는 능력, 성향, 자원의 의미로서 내적 정신적 구조로 개념화되는 것으로, 어느 특정한 상황에서의 요구에 대하여 개인이 활용하는 지식, 인지적 능력, 태도, 가치관, 동기 등으로 개념화할 수 있는 것. 셋째, 한 개인이 역량을 갖고 있다는 것은 어느 특정한 상황에서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자원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조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이광우 외, 2009). 우리나라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부터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구조화되기 시작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 교육과정이 구성됐다.
<표 Ⅱ- 2> 미래사회 초·중등학교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핵심 역량 (이광우외, 2009)
핵심역량 |
요소(내용) |
창의력 |
창의적 사고기능, 창의적 사고성향 |
문제해결능력 |
문제 인식, 해결방안의 탐색, 해결방안의 실행과 평가, 논리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
의사소통능력 |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
정보처리능력 |
정보 수집, 정보 분석, 정보 활용, 정보윤리, 매체활용능력 |
대인관계능력 |
타인 이해 및 존중, 협동, 갈등관리, 관계형성, 리더십 |
자기관리능력 |
자아정체성 확립, 여가선용, 건강관리, 합리적경제생활, 기본생활습관, 자기주도적학습능력 |
기초학습능력 |
기초적 읽기, 기초적 쓰기, 수리력 |
시민의식 |
공동체 의식, 준법 정신, 환경 의식, 윤리 의식, 봉사정신 |
국제사회문화이해 |
우리문화 이해, 다문화 이해, 문화 향유능력, 국제사회이해, 외국어 소양 |
진로개발능력 |
진로 인식, 진로탐색, 진로설계 |
4
고교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성과 분석 연구
Spencer&Spencer(1993)에 따르면 역량은 5개 유형이 있다. 5개 유형은 동기(motives), 특질(traits), 자아개념(self- concept), 지식(knowledge), 기술(skill)이다. 동기란 어떤 행동을 하도록 하는 가장 근원적인 요인이며, 특질이란 신체적 특성과 더불어 상황이나 정보에 대한 일관된 반응이다. 자아개념은 개인의 태도, 가치 혹은 자아상을 말하며, 지식은 특정 내용 영역에 있어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기술은 특정한 물리적·정신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소경희, 2007).
3. 심층적인 측면
5개 유형 가운데 지식과 기술 역량은 가시적인 확인이 가능하여, 다른 역량에 비해 표면적인 측면에 해당한다. 이에 비해 자아개념, 특질, 동기 역량은 눈에 잘 띄지 않아, 상대적으로 심층적인 측면에 해당한다(소경희, 2007). 그런데 지금까지 대학은 심층적인 측면은 고려하지 않고, 표면적인 측면인 교과 성적만을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해 왔다. 여기에는 교과 성적이 뛰어난 인재가 그에 대응하는 역량을 가지고 있어 대학에서도 이런 역량을 발휘할 거라는 예언타당가정을 전제하고 있다. 하지만 Spencer&Spencer(1993) 역량 개념에 의하면, 특정 행위의 표출 역량은 인간 내부의 동기와 특질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이런 동기와 특질은 쉽게 개발될 수 없는 것이다(소경희, 2007).
이 역량 개념에 따르면, 대학에서 인재를 선발할 때 이제까지 간과해 왔던 개인의 심층 동기와 특질 역량에 더 관심을 두어야 한다. 그런 요소들이 성공적으로 학업을 수행해 내는 데 중요한 구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인의 가치관, 태도, 특성, 동기, 자아개념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인 학생부에 대한 보다 분석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의 과정 및 절차
고교 창체활동 교육과정 성과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고교 교육과정을 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과 성과로서의 교육과정으로 나누고, 성과는 학습자 관점으로 개념화하여 분석했다. 먼저 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수도권 지역 5개 일반고교(경기2, 서울2, 인천1) 교육과정 편성 운영표를 분석했다. 일반고는 자율권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대개 비슷한 교육과정을 운영(소진형, 2013)하기 때문에 일반고 5개고 교육과정은 거의 모든 학교에서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교육과정 분석은 다수의 일반고에서 어느 정도의 대표성을 지닌
5
고교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성과 분석 연구
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교육과정 편성 운영표에 기술되어 있는 창체 활동의 4영역인 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 활동 각 영역별로 공통 활동과 특정고의 특별한 창체 활동을 도출했다. 다음으로 성과로서의 교육과정을 학습자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창체 활동에 대한 고교생 238명 인식을 조사했다. 설문은 고교시절 참여한 창체 활동 영역별로 가장 의미 있었던 활동(1~3순위)과 그 활동을 통해 체득(성취)됐다고 생각되는 역량을 묻는 내용이다. 문항용 체득 역량은 11개 역량으로 구성했다. 먼저 진로진학상담교사 25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통해 체득 역량초안 28개를 추출했다. 초안을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회를 3차례 진행했다.
<표 Ⅲ- 1> 문항용 체득 역량 초안 도출을 위한 진로진학상담교사 개방형 설문 대상자
번호 |
성별 |
연령 |
최종학력 |
교사경력 |
학교 |
진로진학교사경력 |
1 |
남 |
44 |
석사 |
17년 |
중 |
3년 |
2 |
남 |
54 |
석사 |
28년 |
중 |
3년 6월 |
3 |
남 |
49 |
석사 |
21년 |
중 |
4년 |
4 |
남 |
52 |
박사수료 |
27년 |
중 |
4년 |
5 |
여 |
47 |
학사 |
18년 |
중 |
3년 |
6 |
남 |
51 |
석사 |
24년 |
중 |
4년 |
7 |
여 |
48 |
석사수료 |
18년 |
중 |
3년 |
8 |
남 |
46 |
석사 |
16년 |
중 |
3년 |
9 |
남 |
53 |
석사 |
27년 |
중 |
3년 6월 |
10 |
남 |
51 |
석사수료 |
23년 |
중 |
4년 |
11 |
남 |
52 |
박사수료 |
24년 |
중 |
4년 |
12 |
여 |
45 |
학사 |
18년 |
고 |
4년 |
13 |
남 |
51 |
석사 |
23년 |
고 |
4년 |
14 |
여 |
48 |
석사 |
17년 |
고 |
3년 |
15 |
남 |
44 |
석사 |
16년 |
고 |
3년 |
16 |
남 |
54 |
석사 |
28년 |
고 |
3년 6월 |
17 |
남 |
50 |
석사 |
22년 |
고 |
4년 |
18 |
남 |
54 |
석사 |
27년 |
고 |
4년 |
19 |
여 |
47 |
석사 |
17년 |
고 |
4년 |
20 |
남 |
51 |
석사 |
24년 |
고 |
3년 6월 |
21 |
여 |
48 |
석사 |
18년 |
고 |
3년 |
22 |
남 |
44 |
석사 |
16년 |
고 |
3년 |
23 |
남 |
53 |
석사 |
26년 |
고 |
3년 6월 |
24 |
남 |
48 |
석사 |
21년 |
고 |
4년 |
25 |
남 |
56 |
박사수료 |
27년 |
고 |
4년 |
6
고교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성과 분석 연구
<표 Ⅲ- 2> 문항용 체득 역량 개발을 위한 전문가 협의회 대상자
순 |
성명 |
직책 및 직위 |
성별 |
연령 |
최종학력 |
교사경력 |
진로 또는 진학교사경력 |
1 |
이○○ |
C대 교수(경영학) |
남 |
47 |
박사 |
- |
- |
2 |
박○○ |
J대 교수(교육학) |
남 |
50 |
박사 |
- |
- |
3 |
김○○ |
서울 Y고 진로진학부장 |
남 |
51 |
박사 |
26년 |
4년 |
4 |
서○○ |
인천 N중 진학부장 |
남 |
52 |
박사수료 |
26년 |
12년 |
5 |
최○○ |
서울 Y여고 진로취업부장 |
여 |
53 |
박사 |
28년 |
4년 |
6 |
정○○ |
인천 S여고 진로진학부장 |
남 |
48 |
박사수료 |
24년 |
4년 |
7 |
권○○ |
서울 K고 진학부장 |
남 |
49 |
박사 |
26년 |
11년 |
8 |
임○○ |
경기 B중 진로교육부장 |
여 |
46 |
박사수료 |
24년 |
4년 |
9 |
박○○ |
경기 C고 진학부장 |
남 |
51 |
박사 |
25년 |
14년 |
공학(컴퓨터정보공학부/정보통신전자공학부/생명환경학부), 기타(생활과학부/미디어학과/기타)로 분류.
전문가 협의회 체득역량 검토 기준은 Grant&Davis(1997)의 내용타당도 준거인 대표성(적절한 반영), 명확성(명확한 기술), 포괄성(범주내용의 충분한 포괄)의 세 준거를 준용하여 정성적으로 평가하기로 사전 협의했다. 평가 결과는 긍정률(적합선택)이 전체 10명의 80%이상인 경우만을 선택하기로 협의했고, 논란이 있는 항목은 추가 회의(2차례)를 통해 협의했다.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도출된 문항용 11개 체득 역량은 공동체 의식, 관계형성 능력, 협동능력, 갈등관리, 타인이해 및 배려, 리더십, 자기성찰능력, 자기관리 능력, 자아 효능감, 창의적 사고능력,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능력, 진로탐색설계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기초학습능력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A대학교의 2015학년도에 지원하여 최종합격한 고3학생으로 선정했다. 계열별로 한 개의 학부(단, 모집인원이 적은 공학계열은 2개 학부)를 추출하여 분석했다. 성과로서의 교육과정을 학습자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창체 활동에 대한 고교생들의 인식을 조사했다. 조사는 2014년 12월 30일 경기도 A대학교 예비대학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 238명을 대상으로 했다. 설문은 고교시절 본인이 참여한 창체 활동 중 가장 의미 있었던 활동(1~3순위)과 활동을 통해 체득(성취)됐다고 생각되는 역량을 고르고 그 정도를 답하게 했다.
분류 |
하위항목 |
일반적 특성 |
성별 / 연령 / 고교 졸업년도 / 고등학교 계열(인문계/자연계/예체능) |
고교유형(일반고/특목고/자율고/특성화고) / 고교 소재지(서울·경기/그 외) |
|
지원전공(인문학부/사회과학부/경영학부/법정학부/특수교육과/국제학부/영미언어문화학부/동아시아언어문화학부/프랑스어문화학과/종교학과/생활과학부/컴퓨터정보공학부/정보통신전자공학부/생명환경학부/미디어학과/자연과학부/음악과) |
|
합격전형(학생부종합전형/특별전형/특수교육대상자전형/논술우수자전형/학생부교과전형/특성화고졸업자전형/교육기회균등전형/외국어우수자전형) |
[그림 Ⅲ- 1] 설문 문항 분류 및 하위항목
7
고교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성과 분석 연구
2. 설문 조사 및 분석 방법
가. 설문 문항구성
<표 Ⅲ- 3> 설문 문항 분류 및 하위항목
분류 |
하위항목 |
일반적 특성 |
성별 / 연령 / 고교 졸업년도 / 고등학교 계열(인문계/자연계/예체능) |
고교유형(일반고/특목고/자율고/특성화고) / 고교 소재지(서울·경기/그 외) |
|
지원전공(인문학부/사회과학부/경영학부/법정학부/특수교육과/국제학부/영미언어문화학부/동아시아언어문화학부/프랑스어문화학과/종교학과/생활과학부/컴퓨터정보공학부/정보통신전자공학부/생명환경학부/미디어학과/자연과학부/음악과) |
|
합격전형(학생부종합전형/특별전형/특수교육대상자전형/논술우수자전형/학생부교과전형/특성화고졸업자전형/교육기회균등전형/외국어우수자전형) |
|
자율 활동, 체득역량 |
참여 자율 활동 중 의미 있었던 자율 활동 / 체득 역량 |
동아리 활동, 체득역량 |
참여 동아리 활동 중 의미 있었던 동아리 활동 / 체득 역량 |
봉사 활동, 체득역량 |
참여 봉사 활동 중 의미 있었던 봉사 활동 / 체득 역량 |
진로 활동, 체득역량 |
참여 진로 활동 중 의미 있었던 진로 활동 / 체득 역량 |
나. 분석 방법
설문조사 결과 분석은 다음과 같다. ① 전체 응답자 238명 중 202명의 응답을 분석했다(결측 및 불성실한 응답자 제외). ② 선다형 문항은 응답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했다. ③ 리커트 척도 문항은 응답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했다. ④ 두 집단 간 응답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했다. ⑤ 세 집단 이상의 응답 차이 분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했으며, 집단 간 차이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판단하기 위해 사후 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했다. ⑥ 통계처리는 SPSS Statistics 20 프로그램을 사용했다. ⑦ 설문문항에서 1~3위까지 순위를 정해 답하게 했으나 2, 3순위를 답하지 않은 학생들이 있어, 통계는 1순위 응답만을 대상으로 산출했다.
다.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응답자 성별은 남학생 68명, 여학생 134명으로 여학생이 66명 더 많았다. 계열별로는 인문계 132명, 자연계 69명으로 인문계가 약 2배정도 많았다. 평균 연령은 18세, 2015년 졸업예정자가 대부분이었으며 고교 유형별로는 일반고 학생이 가장 많은 91.6%의 비율을 차지했다. 고교 소재지는 경기(40.6%), 서울(24.8%), 인천(21.3%) 순이었다.
8
고교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성과 분석 연구
참 고 문 헌
교육과학기술부(2009). 초·중·고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2014). 2014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 서울: 한밭인쇄사.
김호권(1997). 현대교육과정론. 서울: 교육출판사.
박의수, 이득기, 김동기, 김철주, 배장오(2010). 교육학개론. 서현사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역량’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 21.
소진형(2013). 2014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2014 창의적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내실화를 위한 중등 교무부장 연수 자료집. 11- 32. 2월18일. 경기도교육청.
이가영, 박진만, 김명옥(2012). 고교의 창체 활동 특성분석과 평가 활용방안 연구. 입학전형연구, 1, 121- 151.
이광우, 전제철, 허경철, 홍원표, 김문숙(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미래사회협동연구총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성철(2010). 입학사정관제 실시에 따른 창체 활동의 현황과 과제, 대한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 417- 426.
이홍민(2003). 핵심역량 핵심인재. 서울: 리드리드출판.
조영하, 임호용(2012). 고등학교 창체 활동과 대학입학사정관전형의 연계 방안 탐색. 교육과학연구, 43(2), 197- 225.
Grant, J. S. & Davis, L. L. (1997). Focus on quantitative methods: Selection and use of content experts for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 269- 274
Spencer, L. & Spencer, S. (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 논문접수 : 2015.09.10. / 수정본접수 : 2015.10.30. / 게재승인 : 2015.11.06.
9
고교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성과 분석 연구
ABSTRACT
Analysis of Achievement for high school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urriculum
Young- Cheol Ryu
Senior Researcher, Gyeongsangnamdo Education Research&Information Institute
This study helps to Career Guidance in schools through analysis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in high school, university student group type rating validity of documents, the purpose of which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fairness. Two steps are for this. First, the plan as each area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rough a curriculum analysis, utiliz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at featured activities with each school by appearing to high school by Common derive the questionnaire and professionals acquire the capacity for items made up by the Council. Second, to analyze the curriculum as a performance from the learner perspective, derived questionnaire and acquire the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by Acquired the competencies survey, analysis and acquire specific areas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which students to evaluate themselves the capacity was classified. Research results are, first, meaningful voluntary activities club presentation was the order of the Student Council. Acquire skills competency partner, it was sequential of the community. Secondly, it was meaningful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science inquiry activities, volunteer work order. Acquire competence was cooperative skills, relationship skills in order. Third, meaningful service learning activities to help poor friend was in order to help the elderly. Acquire competency is understanding and considerate of others skills, relationship skills was the order. Fourth, meaningful career college major activity was the experience, aptitude test order. Career Exploration design skills are learned skills, was a pure introspective ability.
Key Words: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High School Curriculum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