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참고자료(배포즉시) |
||||
배 포 일 |
2018.9.8.(토) / (총 12 매) |
||||
질병관리본부 |
위기대응총괄과 |
과 장 |
이상원 |
전 화 |
|
담 당 자 |
문상준 |
||||
서울특별시 |
생활보건과 |
과 장 |
김선찬 |
전 화 |
|
담 당 자 |
김해숙 |
◇ 쿠웨이트 방문한 61세 남성환자가 중동호흡기증후군 의심증상으로 검사 결과, 양성으로 판정되어 관련 역학조사 실시 중 ◇ 질병관리본부·서울시에서 즉각대응팀 출동하여 환자에 대한 역학조사 및 접촉자 조사와 현장 신속대응 진행 중 |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쿠웨이트 방문 후 아랍에미레이트 두바이를 거쳐 입국*한 61세 남성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의심증상으로 국가지정격리병상에 격리되어 메르스 검사 결과, 양성으로 확인되어 역학조사 및 현장 즉각 대응 중이라고 밝혔다.
* 쿠웨이트- 두바이(EK860편, 9.6일 22:35∼9.7일 1:10) 경유하여 아랍에미레이트 항공(EK322편, 9.7일 3:47∼16:51)으로 입국
○ 환자는 쿠에이트 방문(8.16일∼9.6일) 중 설사 증상으로 현지 의료기관을 방문(8.28일)하였고, 귀국 직후 설사증상으로 공항에서 바로 삼성서울병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 삼성서울병원은 내원 즉시 응급실 선별격리실로 격리하여 진료 결과, 발열, 가래 및 폐렴 증상 확인 후 보건당국에 의심환자로 신고하여 국가지정격리병상에 이송 후 검체채취하여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시행한 검사 결과, 메르스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 1 -
○ 질병관리본부와 서울시는 의심환자 신고 접수 후 인천공항검역소, 서울시 등과 함께 항공기 탑승객 등 환자의 접촉자 조사를 실시하였고, 검사 결과 확인 후 즉각대응팀*이 출동하여 환자에 대한 심층역학조사를 실시하고, 현장에서 대응하고 있다.
* 방역관(질병관리본부 과장) 1명, 역학조사관 4명(서울시 포함), 행정요원 등으로 구성
○ 현재 질병관리본부와 서울시는 항공기, 방문 의료기관 등을 대상으로 접촉자를 파악하고 있으며, 서울시 등 지자체가 접촉자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 현재까지 파악한 밀접접촉자는 검역관 1명, 출입국심사관 1명, 항공기 승무원 3명, 탑승객 10명, 삼성서울병원 등 의료진 4명, 가족 1명 등 총 20명이며 추가적인 접촉자 조사를 통해 접촉자 숫자는 변동될 수 있다.
- 해당 접촉자들에게는 보건소 등을 통해 밀접접촉자임을 통보하였고, 자택 격리 등 필요한 조치를 진행 중이다.
○ 또한 질병관리본부 중앙역학조사반, 서울시, 민간 감염병 전문가와 함께 즉각대응팀을 확대편성하여 현장대응을 실시하고, 환자검체에 대한 바이러스 분리 및 분석 등 추가분석을 시행할 예정이다.
*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정확·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2 -
붙임 1 |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질병 개요 |
구 분 |
내 용 |
발생현황 |
▫중동지역 아라비아 반도를 중심으로 2012년부터 2018년 6월 30일까지 전 세계적으로 총 2,229명 발생(WHO 기준) ▫2018년 1월 이후 중동지역 메르스 환자 총 116명(사우디 114명*, UAE 1명, 오만 1명) (’18년 9월 8일 기준) * 이 중,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감염 후 영국으로 1건 유입 |
병원체 |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 MERS- CoV) |
감염경로 |
▫정확한 전파경로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으나 낙타접촉, 낙타유 섭취, 또는 확진자와의 직⋅간접 접촉 통해 감염(비말감염) |
잠 복 기 |
▫2- 14일 |
주요증상 및 임상경과 |
▫주로 발열을 동반한 기침, 가래, 숨가쁨 등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며, 설사, 구토와 같은 소화기 증상도 관찰됨 ▫림프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이 흔히 관찰됨 ▫치명률: 기저질환 혹은 면역기능저하자의 예후가 불량하며 치명률은 약 30% 정도 |
진 단 |
▫MERS- CoV 특이적인 타깃 유전자 2개 이상 PCR 양성 또는 1개 특이유전자 PCR 양성과 다른 유전자 염기서열 확보 |
치 료 |
▫대증요법 |
환자관리 |
▫환자: 의심, 추정환자, 환자 모두 격리 ▫밀접접촉자: 의심환자의 접촉자는 수동감시, 확진환자의 접촉자는 격리 및 능동감시 |
예 방 |
▫손씻기, 기침예절 등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 ▫중동지역 여행자 권고 - 낙타 접촉 자제,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 방문 자제,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마스크 착용, 호흡기 증상자와의 밀접한 접촉 자제 |
- 3 -
붙임 2 |
메르스 관련 자주 묻고 답하는 질문 (FAQ) |
○ 질문 1. 현재 메르스 발생 상황에 대해 알려주세요.
☞ 현재 쿠웨이트 알주르(Al- Zour) 방문 후 9.7일 인천공항 통해 입국한 우리나라 국적 남성 1명이 설사 증세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선별 진료 및 격리입원·검사 통해 메르스 환자로 확진되었습니다.
○ 질문 2. 발생 환자에 대한 대응은 어떻게 진행되었나요?
☞ 메르스 환자가 입국 시 증상으로 개별 리무진을 이용하여 바로 의료기관으로 방문하였고, 의료기관에서 여행력 확인 통해 선별 진료, 격리조치 및 개인보호구 착용 등 선제적 감염예방 조치를 실시하였습니다.
☞ 다만, 항공기 및 공항 내 접촉, 추가 장소 방문여부 등 자세한 사항은 환자에 대한 심층역학조사 및 접촉자 조사 중으로, 확인 결과에 따라 추가 발생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보도자료 등을 통해 상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질문 3. 메르스 환자의 접촉자 파악과 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 메르스 확진환자와 항공기 내 동승한 모든 승객 및 승무원의 주소지 소재 관할 보건소로 명단을 통보하여 지역사회 내에서 역학조사와 증상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조치 중입니다.
☞ 또한, 접촉자로 확인된 경우, 접촉일로부터 14일 동안 보건소 통해 발열 및 호흡기 증상에 대해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증상이 있는 경우 의심환자에 준한 검사, 격리입원 등 진단 및 방역조치를 취할 예정입니다.
- 4 -
○ 질문 4. 메르스 환자의 접촉자로 통보를 받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보건소의 안내에 따라 증상 발생 모니터링과 감염 예방 수칙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이 생길 경우, 타인에 대한 감염 전파 방지 및 자신의 빠른 메르스 감별 진단을 위해 타인 접촉 및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말고 지체없이 보건소 담당자에게 알리고 안내에 따르도록 합니다.
○ 질문 5. 향후 질병관리본부의 메르스 대응 계획은 무엇입니까?
☞ 중앙역학조사반, 서울시, 민간전문가로 즉각대응팀을 확대, 편성하여 서울대병원 등 현장에 파견하여 심층 역학조사결과에 따른 추가 방역조치 검토 등 실시할 계획입니다.
☞ 또한, 질병관리본부는 자체위기평가회의를 소집하여 중앙방역대책본부 구성, 메르스 추가 환자 발생 방지를 위해 총력을 다 할 것이며, 심층 역학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언론브리핑 통한 대국민 정보공개 등을 진행 할 계획입니다.
○ 질문 6. 메르스에 대한 궁금한 사항은 어디로 확인할까요?
☞ 기타 궁금한 사항은 질병관리본부 콜센터(국번없이 ☎ 1339)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5 -
붙임 3 |
메르스 관련 다국어 안내문(한국어) |
- 6 -
- 7 -
붙임 4 |
메르스 예방 행동수칙 |
여행 전 준비사항 |
* 메르스 환자발생 국가현황 확인 ※ 발생국가 정보는 질병관리본부(cdc.go.kr) 에서 확인 * 65세 이상, 어린이, 임산부, 암투병자 등 면역저하자는 여행 자제 |
|
여행 중 주의사항 |
* 손 씻기 등 개인위생수칙 준수 * 여행 중 농장방문자제 및 동물(특히, 낙타) 접촉하지 않기 * 익히지 않은 낙타고기, 생낙타유 섭취하지 않기 * 진료 목적 이외 현지 의료기관 방문 및 사람이 분비는 장소 방문 자제(부득이한 경우 마스크 착용) *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 피하기 *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마스크 착용 * 기침, 재채기를 할 경우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림 |
|
여행 후 주의사항 |
* 귀국 시 의심증상이 있으면 비행기 하차 시 검역관에게 고지 * 귀국 후 2주 이내 발열, 기침, 숨가쁨 등 의심증상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을 가지 말고 1339 또는 보건소로 신고 |
- 8 -
붙임 5 |
사우디아라비아 등 국외 메르스 환자 발생 현황 |
□ 국외 발생 현황(9월 8일 기준, 발생보고 지역이 아닌 감염지역 기준으로 집계)
○ (전체) '18년 총 116명 발생, 30명 사망
* 사우디아라비아 114명(사망 30), 오만 1명, 아랍에미리트 1명
< 월별- 국가별 환자 발생 현황 > (단위: 명)
구분 |
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마지막 발생일 |
‘16년 총 발생 |
‘17년 총 발생 |
총계 |
116 |
23 |
23 |
19 |
9 |
14 |
10 |
7 |
7 |
4 |
- |
252 |
250 |
사우디 |
114 |
23 |
23 |
18 |
9 |
13 |
10 |
7 |
7 |
4 |
’18.9월 |
243 |
238 |
카타르 |
0 |
- |
- |
- |
- |
- |
- |
- |
- |
’17.5월 |
2 |
3 |
|
UAE |
1 |
- |
- |
- |
- |
1 |
- |
- |
- |
’18.5월 |
3 |
6 |
|
오만 |
1 |
- |
- |
1 |
- |
- |
- |
- |
- |
’18.3월 |
3 |
3 |
|
쿠웨이트 |
0 |
- |
- |
- |
- |
- |
- |
- |
- |
’16.8월 |
1 |
0 |
○ 사우디아라비아 발생 세부 현황
- '18년 총 114명 발생, 30명 사망
< 월별 사우디 환자 발생 현황 > (단위: 명)
구분 |
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18년 |
계 |
114 |
23 |
23 |
18 |
9 |
13 |
10 |
7 |
7 |
4 |
- |
- |
- |
1차 감염 |
88 |
21 |
17 |
14 |
8 |
6 |
6 |
5 |
7 |
4 |
- |
- |
- |
|
2차 감염 |
261) |
2 |
62) |
4 |
1 |
73) |
43) |
2 |
- |
- |
- |
- |
- |
|
‘17년 |
238 |
24 |
19 |
18 |
17 |
17 |
59 |
6 |
33 |
11 |
11 |
15 |
8 |
|
’16년 |
243 |
7 |
20 |
57 |
15 |
4 |
46 |
12 |
8 |
9 |
14 |
20 |
31 |
1) 2차 감염 26명 중 병원 내 감염 9명(의료인 5, 환자 4), 가족 내 감염 17명
2) Hafar Al- Batin 시 병원 내, 무증상 감염 Cluster 1건(환자접촉에 의한 의료인 3명), 개별 2차 감염사례 3명
3) Najran 지역의 낙타농장 소유 가족 내 집단발생 1건(2차 감염 11명(’18.5.23~6.8))
- 9 -
< 사우디아라비아 주별 발생 현황 (’14년∼’18년 9월 8일) >
< 사우디아라비아 감염경로별 발생 현황 (’15년∼’18년 9월 8일) >
- 10 -
붙임 6 |
2018년 국내 메르스 의심환자 대응 현황 |
□ 국내 발생 현황(9월 8일 기준)
○ '15년 메르스 유행 이후 확진환자는 없었음
○ '18년 메르스 의심환자 신고 총 959건, 의심환자 분류 169명*
* ’18년 신고건수 대비 의심환자 분류 17.6% (’18.1.1~9.8. 0시 기준)
- (1.1∼9.7.일) 그간 의심환자 모두 메르스 검사결과 음성
- (9.8일) #169번째 의심환자로 분류 후 격리입원⋅검사 조치된 의심환자 검사 결과 양성 판정되어 메르스 확진
(’18.1.1.∼9.5. N=166)
구분 |
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16 |
200 |
32 |
23 |
15 |
16 |
17 |
13 |
11 |
13 |
15 |
12 |
13 |
20 |
2017 |
220 |
24 |
17 |
19 |
16 |
14 |
18 |
11 |
9 |
27 |
13 |
16 |
36 |
2018 |
166 |
41 |
18 |
21 |
18 |
22 |
10 |
9 |
24 |
3 |
- |
- |
- |
< ’16년 1월 이후 주별 의심환자 분류 현황 (’16년 1월 1일∼9월 5일, 36주차 기준) >
- 11 -
붙임 7 |
중앙방역대책본부 체계도 |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