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과제 제안서]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연구과제명 |
『서울교육종단연구 2020』 2차년 학생역량 검사지 개발 연구 |
서울교육종단연구 자료 활용 여부 |
활용( O ), 미활용( ) |
제안부서 (소속기관) |
서울교육정책연구소 |
||
예상연구기간 |
255일 |
예산규모 (예상금액) |
133,305천원 이내 |
연구 활용방안 |
※ 주된 활용 계획은 ○표, 부차적 활용 계획은 △표 ( ○ )정책기획·개발연구 ( )정책방향설정 연구 ( )개선실천방안연구 ( △ )기초‧모델연구(신규 사업) |
||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 새로운 학력 관점에 따른 교육과정에 근거한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학생역량 지표 정립의 필요성에 따라 『서울교육종단연구 2020』에서는 학생들의 성장과 변화 및 교육의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서울학생역량을 측정하고자 함. - 2019년도 연구를 통해 2021년도에 시행될 1차 본조사 문항은 개발이 완료된 상태이며, 차년도 조사를 위한 문항 개발이 필요함 - 아울러 연도별로 실시되는 검사를 통한 학생의 역량 함량 수준과 성장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수직 척도화와 수직 척도점수 산출을 고려한 공통문항 설계가 필요함 - 종단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서울학생역량 평가틀 유지와 1차년도 본검사 문항과의 연계성을 반드시 포함하여 문항이 개발되어야 함 |
||
연구 내용 |
- 서울학생역량에 대한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 『서울교육종단연구 2020』 학생패널 기본 설계 및 실행 방안 연구(박상현 외, 2018)과 서울학생역량 검사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김경희 외, 2018), 『서울교육종단연구 2020』 학생역량 검사지 개발 연구(김경희 외, 2019)를 반드시 검토하고, 이를 검사지 개발에 고려해야 함 - 기존 학생역량 검사지 개발 연구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 서울학생역량 평가틀 유지 및 1차년도 본검사 문항과의 연계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함 - 『서울교육종단연구 2020』학생역량 검사지 개발 및 타당화 : 2차년도 (2022년) 조사대상별(초5, 중2, 고2) 학생역량 검사 도구 개발 1) 초4패널: 인지적 역량(국·영·수) 2) 중1패널: 인지적 역량(국·영·수), 참여·자치 역량 3) 고1패널: 참여·자치 역량 ※ 수직 척도화를 고려하여 공통문항을 활용한 설계가 필요함 - 학생역량 검사 결과 산출 및 보고·활용 방안 제시 : 영역별 역량 특성을 고려하여 수준 설정(수준별 특성) 또는 유형화, 프로파일 등의 보고 방안 적용 |
||
기대 효과 |
- 서울교육종단연구 2020 2차년 학생역량 검사지로 활용 - 시‧도 교육 종단연구의 학생역량 검사지의 모델로서 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