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백지정: 위‧아래 39, 왼쪽‧오른쪽 36, 머리말‧꼬리말 12, 제본 0 * 본문 글꼴 : 신명조, 글자크기 11, 장평 : 90, 자간 : - 5 * 줄간격 : 160, 들여쓰기 : 10 * 문단 : 1단, 양쪽혼합 |
논문제목[글자크기 20]
저자명 (소속기관)
[글자크기 11]
〈요 약〉 |
||
이 연구는 저소득층 가정배경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명문대에 입학한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대학교육의 한계와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삼성꿈장학재단의 차세대리더육성 장학금을 지원받은 7명의 저소득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 ‧ 주요어:대학생활 적응, 대학교육, 교육격차, 기회균형 [글자크기 10, 장평: 100, 자간 0, 들여쓰기 10, 줄간격 150 / 총 10행 이내] |
I. 서론
[제목번호 1단계- 글자크기 16, 진하게, 들여쓰기 15
/ 위 2행, 아래1행 띄움]
대학 진학률이 80%를 상회하는 현실에서 대학 진학 자체는 더 이상 계층 상승을 보장해주는 기제가 될 수 없다(이제봉, 2009). 대졸 학력이 보편화됨에 따라 고졸 학력 대비 대졸 학력이 가지는 ‘차별성’이 약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대졸 학력 중에 상대적으로 소수 학위인 ‘명문대 학위’만이 계층이동 면에서 여전히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
는 상황이 되고 있다(이수정, 2007). 하지만, 대입 준비를 위한 사교육이 명문대 진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 입시구조 하에서 ‘개천의 용’이 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2010)의「2010년 사교육비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일반계고 학생 1인당 월사교육비는 서울이 42만원, 광역시가 24만 5천원으로, 그 격차가 17만 5천원에 이른다.
Ⅱ. 저소득층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정
1. ‘나’만의 성공 방정식을 통한 명문대 입학
[2단계- 글자크기 14, 진하게, 들여쓰기15 / 위, 아래 각 1행 띄움]
1) 개인의 힘: ‘강한 의지’와 ‘길라잡이’
[3단계- 글자크기 12, 진하게, 들여쓰기 10 / 위 1행 띄움]
연구 참여자들이 대학 진학에 이르는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던 개인적 바탕에는 학업에 대한 ‘강한 의지’와 길라잡이 역할을 해준 ‘가족’의 힘이 크다. 먼저, 학업에 대한 강한 의지는 어려운 상황에 대한 반작용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들 역시 보통의 저소득 청소년처럼, 자신의 상황이 ‘꼬리표’로 작용하는 것을 두려워하며, 빈곤이 ‘식비 체납’과 같은 직접 상황으로 다가올 때마다 고통스러웠다. 그러나 이들은 역경 앞에서 꺾이는 대신, 학업에 대한 ‘자신감’으로 상황을 버텨냈다.
(1) 괄호제목
[4단계- 글자크기 11, 보통, 들여쓰기 10/ 위 1행 띄움]
학생들이 가장 많이 채택하는 전략은 대학과 자신을 ‘이어줄 사람’을 찾아 도움을 구하는 것이다. 대인관계에 투입할 자원이 풍부하지 않은 이들은 특별히 따로 시간을 내지 않아도 유지할 수 있는 관계 속에서 자신이 필요한 도움을 얻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들이 이들에게 주로 구하는 것은 ‘학업적인 지지’이다.
[표 제목 - 표 상단에 표시, 글꼴: 중고딕, 글자크기: 11, 가운데정렬 / 표 내용 - 글꼴: 신명조, 글자크기: 9, 줄간격: 150]
학생* |
성별 |
전공 |
출신고 |
출신지역 |
가정환경 |
|
부모 상황 |
형제 관계 |
|||||
성진 |
남 |
전기공학 |
자사고 |
서울 |
모자가정(父 사망), 저소득 |
누나 1 |
수정 |
여 |
교육학 |
일반고 |
원주 |
저소득 가정 (부모 농사) |
언니 1, 남동생 1 |
민석 |
남 |
회계세무 |
외국어고 |
성남 |
모자가정(이혼), 저소득 |
형 1 |
지은 |
여 |
생물교육 |
자사고 |
포항 |
모자가정(이혼), 저소득 |
오빠 1 |
규호 |
남 |
경영학 |
일반고 |
강릉 |
저소득층 가정 (부의 사업실패) |
형 1 |
[그림 제목 - 그림 하단에 표시, 글꼴: 중고딕, 글자크기: 11, 가운데정렬]
* 출처: 홍길동, 2003, p. 24[왼쪽정렬]
(2) 본문 중 참고문헌 표기
오늘날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화, 다양한 조직들의 구성 및 일하는 방식의 변화 등으로 인해서 정부- 비정부 부문 간의 협력을 통한 업무 추진 경향과 필요성은 이전과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강화‧확대되고 있다(홍길동, 2004). 이러한 가운데 정책을 실현하는 체계로서의 행정체계가 갖는 위계적 관료제에 대한 불신과 부정적인 이미지를 넘어서서 이를 대체할 새로운 형태의 사회문제 해결체제를 적극적으로 구안하는 가운데 많은 학자들은 거버넌스라는 용어를 사용한다(홍길동, 2002, p. 321). 즉 거버넌스는 기본적으로 모종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계층제적인 지시나 통제가 아니라 ‘협상을 통한 동의’라는 새로운 접근을 암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용어인 것이다(홍길동, 2010, pp. 25- 33).
참고문헌[글자크기 16, 가운데정렬]
*[신명조, 줄간격 160, 글자크기 11, 장평 90, 자간 - 5, 내어쓰기 30]
*단행본 : 국문은 진하게, 영문은 이탤릭체(영문 단행본 제목은 제목의 첫 글자만 대문자, 나머지 모두 소문자)
김경근(2005).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원인.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pp. 723- 74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순희‧홍길동(2011). 현장 중심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추진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이혜영 외(2011). 교육복지 통합적 지원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홍길동(2003). 원격교육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Braxton, J. M., & Lien, L. A. (2000). The viability of academic integration as a central construct in Tinto's interactionist theory of student departure. In J. M. Braxton(Ed.). Reworking the student departure puzzle(pp. 11- 28). Nashville: Vandervilt University Press.
Tinto. V. (1993). Leaving college: Rethinking the causes and cures of student attrition (2d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번역본의 경우
Surowiecki, J. (2004). 대중의 지혜(홍대운‧이창근 역). 서울: 랜덤하우스코리아. (원저 2004년 출간)
* 학위 논문의 경우(일반대학원이 아닌 경우 반드시 대학원명을 밝힐 것)
홍길동(2005). 평생학습사회의 의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대학교 교육대학원.
Lee, H. (2008). Students’ perceptions of peer and self assessment in a higher educatio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 국문 : 논문집이름과 권수는 진하게(호수 제외)
- 영문 : 논문집 이름과 권수는 이탤릭체(호수 제외), 논문 제목은 첫 글자만 대문자. 논문집 이름은 각 단어 첫 글자마다 대문자
강기수(2011). 입학사정관전형 신입생의 대학적응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교육사상연구, 26(1), 1- 35.
김안나·김성훈(2010). 대학생 선택에 미치는 학자금지원의 영향: 휴학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41(2), 163- 180.
남수경(2009). 미국 TRIO 프로그램이 고등교육 형평성 제고 정책의 개선에 주는 시사점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18, 79- 105.
노경란·윤수정(2012).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생의 대학적응 특성에 대한 이해: 4년제 여자대학교의 입학생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발전논총, 33(1), 91- 118.
Attinasi, L. C., Jr. (1989). Mexican Americans' perceptions of university attendance and the implications for freshman year persistenc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60(3), 247- 277.
Chae, J. E. (2010). New challenges to Korean universities: Increase of older students. Asia Pacific Journal of Education, 30(3), 339- 353.
* 편집한 단행본 속의 논문인 경우
윤여각(2006). 문화교육의 장들. 조용환‧윤여각‧이혁규, 문화와 교육(pp. 171- 199).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Rubenson, K. (1989). Sociology of adult education. In S. B. Merriam, & P. Cunningham(Eds.), Handbook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pp. 51- 69). San Francisco: Jossey- Bass.
* 인터넷 자료 인용의 경우
홍길동(2013). 교육개혁의 방향. http://www.knou.ac.kr (검색일:2013. 6. 20)
Phillips, P. (2008). Student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group and individualized feedback in online courses. Retrieved August 26, 2008, from http://www.knou.ac.kr
Title
[신명조, 글자크기 20, 진하게]
Jihye Lee (Hallym University)
Jaeeun Chae (Gachon University)
[신명조, 글자크기 11, 진하게]
[신명조, 글자크기 10, 장평 100, 자간 0, 줄간격 160 / 총 15행 이내]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recent increase of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at prestigious Korean universities dominated by those from middle- class families. A case study design is used to gain an in- depth understanding of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who received a merit- based scholarship from Samsung Dream Scholarship Foundation between 2010 and 2012. Semi- structured interviews of seven students were conducted for the date collec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have had difficulty integrating themselves into the academic and social systems of the university due to their low socio- economic status and lack of university support. Also, the ineffective operation of the equal opportunity policy has added challenges to the students. Most universities have only applied the policy to the process of student selection and have thus ignored the challenge facing the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in the process of education. They suggest that Korean universities pay attention to the needs of students with varied backgrounds and especially improve the support for minority students.
‧ Key words : student adaptation, university education, education gap, equality opportunity
접수일 심사일 게재확정일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