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투고 지침 |
1. 목 적 본 지침은 학술지「교육과정평가연구」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발간을 위해 필요한 원고의 투고요령을 안내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원고 작성 가. 주요 편집 기준 1) 편집용지 : A4 (210×297mm) 용지여백 위쪽 / 아래쪽 38, 머리말 / 꼬리말 12, 왼쪽 / 오른쪽 35 2) 폰 트 : 한글 신명조체 기준(필요에 따라 조정 가능) 3) 단 편 집 : 1단 4) 본 문 : 줄간격 170, 들여쓰기 2(또는 10pt), 혼합 정렬, 글자크기 10 나. 본문의 체제별 편집기준 1) 논문제목 : 가운데 정렬, 크기 18 2) 성명(소속) : 가운데 정렬, 크기 12(소속 8) 3) 국문요약 : 가운데 정렬, 크기 10 4) 장제목(Ⅰ.) : 가운데 정렬, 크기 14 절제목(1.) : 혼합 정렬, 들여쓰기 2, 크기 12 항제목(가.) : 혼합 정렬, 들여쓰기 2, 크기 11 목제목(1)) : 혼합 정렬, 들여쓰기 2, 크기 11 5) 참고문헌 : 가운데 정렬, 크기 13 본문 : 혼합 정렬, 내어쓰기 6(또는 30pt), 크기 10 6) 영문초록 논문제목 : 가운데 정렬, 크기 13 이름(소속) : 오른쪽 정렬, 크기 10 내용 : 혼합 정렬, 크기 10 7) 표‧그림제목 : 가운데 정렬, 크기 9 8) 표‧그림내용 : 가운데 정렬 또는 혼합정렬(필요에 따라 조정 가능), 크기 8 다. 참조사항 1) 원고는 한글프로그램(한글 2002 버전 이상)을 사용하여 작성한다. 2) 논문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의미에 혼동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한자로 표시하거나 ( )속에 원어를 써 넣는다. 3) 논문 제출자의 성명은 한글로 표시하고, 외국인의 인명은 원어 그대로 쓴다. 4) 국문 논문의 경우는 국문요약을, 외국어 논문의 경우는 외국어로 된 요약을 가로 80열 세로 10행 정도로 논문 제목, 성명/ 소속 다음에 제시하되, 각 요약 하단에 8개 이내의 주제어(key words)를 발췌하여 기재한다. 5) 국문 논문의 경우 영문으로 된 초록(abstract)를 첨부하고, 영문 논문의 경우 국문으로 된 초록을 제일 마지막에 제시하되(A4 용지 1매 정도의 분량), 각 초록 하단에 8개 이내의 주제어(key words)를 발췌하여 기재하며, 각 초록에는 논문의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등을 포함한 주요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 6) 논문의 분량은 인쇄 쪽수 20쪽(200자 원고지 120매에 해당)이내(요약, 초록, 참고문헌 포함)를 원칙으로 하되, 최대 30쪽을 초과할 수 없다. 7) 투고 원고는 과거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학술지에 게재를 목적으로 제출되었거나 제출할 계획이 없어야 한다. 8) 인용문헌 및 참고문헌 작성 시 학술지 게재양식을 따르지 않은 논문은 심사하지 않고 반환한다. 3. 제목 번호 붙임 1단계 : Ⅰ, Ⅱ, Ⅲ... 5단계 : 가), 나), 다)... 2단계 : 1, 2, 3... 6단계 : (1), (2), (3)... 3단계 : 가, 나, 다... 7단계 : (가), (나), (다)... 4단계 : 1), 2), 3)... 단순한 나열 : ①, ②, ③... 4. 인용 인용하는 내용이 짧은 경우에는 본문 속에 기술하고, 긴 경우(3행 이상)에는 본문과 별도로 구분하여 기술한다. 별도로 기술하는 경우에는 인용 부분의 아래 위를 본문에서 한 줄씩 비우고 좌우로 각각 3글자씩 들여 쓴다. 5. 각주와 후주 가. 주를 사용할 경우, 후주를 사용하도록 한다. 나. 각주는 본문에 표시하기 어려운 보충적인 내용이나 설명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단순히 자료의 출처나 참고문헌을 밝히는 각주는 사용을 금한다. 6. 본문 내의 인용문헌 가. 문헌 인용은 저자 이름과 발표 연도 및 쪽수를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예> 홍길동(2003, p. 10) 또는 (홍길동, 2003, pp. 10- 20) 오슈벨(Ausubel, 2003, p. 10), Ausubel(2003, p. 10), 또는 (Ausubel, 2003, pp. 10- 20) (홍길동, 김길동, 2003, pp. 10- 20) 나.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부분 말미에 괄호를 치고 그 속에 저자명과 발행연도를 표시한다. 하나의 사항에 여러 문헌을 인용하는 경우 문헌들 사이를 쌍반점(;)으로 가른다. 예> 연구(홍길동, 2003; Bruner, 2003)에 의하면… 다. 저자 두 명이 함께 수행한 연구를 본문에서 인용했을 때, 국문 문헌의 경우는 두 저자명을 쉼표(,)로 연결한다. 서양 문헌의 경우는 앤드 기호(&)를 이용한다. 예> 홍길동, 김길동(1992)는… Ausubel & Bruner(2004)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홍길동, 김길동, 1992; Ausubel & Bruner, 2004) 라. 저자가 다수일 경우 3인까지는 모두 표시하되, 4인 이상은 첫 번째 저자만 나타내고 그 다음은 ‘외’로 나타낸다. 단, 괄호 안이 영문인 경우는 et al.로 표기한다. 예> 국문 → 홍길동 외(2003)는 … / …한 연구(홍길동 외, 2003)에 의하면 … 영문 → Bruner 외(2003)는 … / …한 연구(Bruner et al., 2003)에 의하면 … 마. 저자가 기관인 경우 기관명을 저자명으로 취급하고 완전한 기관명을 밝힌다. 예> …연구가 진행되었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바. 재인용의 경우 원전과 재인용한 자료의 출처를 콜론(:)으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예> 홍길동(1990: 김길동, 1998에서 재인용)은… …을 제시하였다(홍길동, 1990: 김길동, 1998에서 재인용). 사. 동일인의 연구가 두 편 이상 인용되었을 때는 출판 연도순으로 오래된 것부터 배열하며 연도 사이는 쉼표(,)로 연결한다. 예> 선행 연구들(홍길동, 1992, 1999)에서… 7. 참고문헌 작성 가. 일반적인 원칙 1) 논문의 말미에 참고문헌을 작성한다. 참고문헌은 한국어, 동양어(일본어, 중국어 등), 서양어 순위로 하되 각 언어별 알파벳 순위로 나열한다. 2) 책명은 국문의 경우 볼드체로, 영문의 경우 이탤릭체로 한다. 예> 홍길동(1984). 학교 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Kolb, L. C. (1985). Modern clinical psychiatry.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3) 참고문헌은 저자 및 출판년도, 책이름, 출판사 순서로 쓰고, 이들 사이에 마침표(.)를 찍는다. 4) 국문 참고문헌과 영문 참고문헌 사이는 한 줄을 비워 구분을 둔다. 5) 동일인의 연구가 동일 연도에 두 편 이상 인용되었을 때는 저서의 제목순으로 배치한 후, 해당 연도 뒤에 알파벳(a, b)를 넣는다. 예> Berndt, T. J. (1981a). Age changes and changes over time in prosocial intentions and behavior between friends. Developmental Psychology, 17, 408- 416. Berndt, T. J. (1981b). Effects of friendship on prosocial intentions and behavior. Child Development, 52, 636- 643. 나. 단행본의 경우 1) 저자가 1인인 경우 예> 홍길동(1992). 학교 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Atkinson, J. W. (1964). An introduction to motivation. Princeton. NJ: Van Nostrand. 2) 저자가 2인인 경우 : 국문의 경우 쉼표(,)로 구분하고, 영문의 경우 앤드(&) 앞에 쉼표(,)를 넣는다. 예> 홍길동, 김길동(1994). 학교 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Raudenbush, S. W., & Congdon, R. (2004). HLM 6 for Windows [Computer software]. Lincolnwood, IL: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Inc. 3) 저자가 3인 이상인 경우 : 국문의 경우 쉼표(,)로 구분하고, 영문의 경우 쉼표(,)로 구분하되 마지막 저자 앞에 앤드(&)를 넣는다. 예> 홍길동, 김길동, 이길동(1994). 학교 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Raudenbush, S. W., Bryk, A. S., & Congdon, R. (2004). HLM 6 for Windows [Computer software]. Lincolnwood, IL: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Inc. 4) 번역서인 경우 예> 홍길동, 김길동, 이길동, 장길동 역(2003). 학업성취도연구. 서울: 서현사. McNamara, T. (1996). Measuring second language performance. NY: Longman. 5) 편서인 경우 예> 홍길동 편(1992). 학교 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구미출판부. Atkinson, J. W. (Eds.). (1964). An introduction to motivation. Princeton. NJ: Van Nostrand. 다. 정기간행물인 경우 학술지 및 권(volume)을 국문의 경우 볼드체, 영문의 경우 이탤릭체로 하며 권, 호, 쪽은 쉼표(,)로 연결한다. 또한 쪽의 범위는 나타낼 때에는 쪽을 나타내는 기호인 pp.를 쓰지 않는다. 예> 홍길동, 김길동, 이길동(2011). 학업성취도연구. 교육평가연구, 24(1), 1- 30. VandenBos, G., Knapp, S., & Doe, J. (2001). Role of reference elements in selection of resources by psychology undergraduates. Journal of Bibliographic Research, 5(1), 117- 123. 라. 학위논문인 경우 볼드체와 이탤릭체를 사용하지 않는다. 예> 홍길동(2004). 한국전통연구. 박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마. 인터넷 자료를 인용한 경우 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 http://www.kice.re.kr(검색일: 2011. 11. 10.) 바. 보도자료인 경우 예> 홍길동(한국일보. 2010. 2. 9.). 교수학습방안. 자료출처(검색일 2010. 2. 9.): 사. 여기서 제시한 이외의 서양 참고문헌 작성법은 APA(미국심리학회) 양식에 따른다. 8. 표와 그림 가. 표와 그림에는 일련번호를 붙이되, 표에는 < >, 그림에는 [ ]과 같은 괄호를 사용한다. 나. 표의 제목은 상단에, 그림 제목은 하단에 표시한다. 다. 표와 그림은 원본 그대로를 복사, 인쇄할 수 있도록 저자가 완벽하게 그려서 제출한다. 라. 표와 그림에 다양한 도식, 화살표 등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개체를 묶고, 반드시 문서에 9. 저작재산권 저자(들)는 학술지 「교육과정평가연구」에 논문이 게재될 경우 논문 사용권 및 복제, 전송, 공중송신, 발행, 배포권 등 저작재산권(2차적저작물 관련 권리 포함) 일체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양도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10. 연구윤리 투고하는 논문은 학술지 「교육과정평가연구」연구윤리 규정을 준수하여 작성하며, 편집위원회 에서는 Copy Killer로 유사성 여부를 점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