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19 대응 지침(지자체용) 제12판 개정전후대비표 |
<해외출입국관리팀>
쪽 |
현행(11판) |
11- 1판 개정(안) |
개정사유 |
||
15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2. 일반적 관리방안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2. 일반적 관리방안 |
예방접종완료자 대상 격리면제 적용 (국내:3.21.~, 해외:4.1.~) |
||
16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2. 일반적 관리방안 가. 증상별 대응 절차 ○ 검역단계 무증상자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2. 일반적 관리방안 가. 증상별 대응 절차 ○ 검역단계 무증상자
|
입국 후 6~7일차 검사는 RAT검사법으로 변경 시행중 |
||
17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2. 일반적 관리방안 나. 기관별 역할 1) 검역소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2. 일반적 관리방안 나. 기관별 역할 1) 검역소 |
공항 입국자 대상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Q- CODE) 전면 시행 *시스템을 통해 PCR음성확인서, 건강상태질문서, 격리면제서, 예방접종증명서 등 관련서류 제출 |
||
16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2. 일반적 관리방안 다. 격리장소 이동 및 격리 조치 1) 격리 장소 이동 ○ 관할 지자체(자가격리) 또는 격리시설 관리주체(시설격리)가 이동조치 시행 ○ 공항에서 자가로 이동시 승용차(자차) 또는 방역교통망 이용, 이동 시 반드시 마스크 착용 및 이동 중 다른 장소를 방문하지 않고 자택으로 바로 귀가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2. 일반적 관리방안 다. 격리장소 이동 및 격리 조치 1) 격리 장소 이동 ○ 공항에서 자가로 이동 시 대중교통 이용 가능, 이동 시 반드시 마스크 착용 및 이동 중 다른 장소를 방문하지 않고 자택으로 바로 귀가 |
해외입국자 대상 대중교통 이용 가능 |
||
17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3. 예방접종완료자 관리방안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3. 예방접종완료자 관리방안 |
예방접종완료자 대상 격리면제 적용 (국내:3.21.~, 해외:4.1.~) |
||
17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3. 예방접종완료자 관리방안 (신설)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3. 예방접종완료자 관리방안 가. 증상별 대응 절차 ○검역단계 유증상자 ○검역단계 무증상자 |
예방접종완료자 대상 격리면제 적용 (국내:3.21.~, 해외:4.1.~) |
||
17 ~ 18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3. 예방접종완료자 관리방안 가. 기관별 역할 ○(출입국심사대) 여권에 ‘접종완료자’ 스티커가 부착된 입국자에 대해 격리통지서 발급 및 관련 시스템에 ‘예방접종완료자’ 임을 등록 나. 해외 접종이력 등록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3. 예방접종완료자 관리방안 나. 기관별 역할 ○(출입국심사대) 여권에 ‘접종완료자’ 스티커가 부착된 입국자에 대해 관련 시스템에 ‘예방접종완료자’ 임을 등록 (삭제) |
- 예방접종완료자 대상 격리면제 적용 (국내:3.21.~, 해외:4.1.~) - 예방접종력 등록 절차 관계없이 검역단계에서 확인시 격리면제 진행됨에 따라 혼선방지를 위해 안내 삭제 * 등록방법 등 절차는 현행 유지 |
||
19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4. 격리면제서 소지자 관리방안 가. 증상별 대응 절차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4. 격리면제서 소지자 관리방안 가. 증상별 대응 절차 |
입국절차 간소화 위해 예방접종완료자는 동일한 절차 적용 |
||
19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4. 격리면제서 소지자 관리방안 나. 기관별 역할 1) 질병관리청, 법무부 (신설)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4. 격리면제서 소지자 관리방안 나. 기관별 역할 1) 질병관리청, 법무부
|
공항 입국자 대상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Q- CODE) 전면 시행 *시스템을 통해 PCR음성확인서, 건강상태질문서, 격리면제서, 예방접종증명서 등 관련서류 제출 |
||
24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6. 진단검사 ○ 모든 입국자는 입국 후 1일차 PCR검사 실시
|
Ⅳ.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6. 진단검사 ○ 모든 입국자는 입국 후 1일차 PCR검사 실시
|
예방접종완료자 중 단기체류외국인에 대한 1일차 검사장소 변경 안내 |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