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재학술지『선거연구』 선거·정치제도 개선을 위한 논문 공모 안내문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은 선거·정치제도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 제고 및 제도개선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해당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연구논문을 공모합니다.
※ 선거(주민투표, 주민소환투표, 위탁선거 포함), 정당, 정치자금 등 관련
❍ 사회과학 관련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과정 중인 사람 포함)
❍ 대학교수, 강사, 연구기관 연구원 등 선거·정치제도 관련 전문가
※ 제출기간이 지나면 온라인 논문 투고‧심사 시스템에서 접수가 차단되어 논문투고가 불가하므로, 인터넷 접속환경 및 시스템상 소요 시간을 고려하여 다소간 여유를 갖고 제출할 것을 권장함(제출기한 준수 여부 판단은 시스템에 따름)
❍ (참가신청서 등) 참가신청서와 개인정보 처리 동의서(서식은 [별지1] 및 [별지2])를 담당자 이메일 주소(nec_study@nec.go.kr)로 제출
※ 응모하고자 하는 사람은 온라인 논문 투고‧심사 시스템을 통한 논문 제출 전에 반드시 참가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함
❍ (논문 제출) 『선거연구』온라인 논문 투고·심사 시스템을 통한 인터넷 제출
※ 홈페이지 주소 : http://nec.jams.or.kr
※ 제출서류
① 투고 논문 : 원문파일 1부, 심사용파일(개인정보 미기재) 1부
② 논문연구윤리확인서 및 논문사용권 등 위임동의서 각 1부
③ KCI(한국학술지인용색인, https://www.kci.go.kr)논문유사도검사결과서 1부
※ 심사위원 3인 이상의 공정한 심사를 거쳐 게재 논문 결정(논문 게재 결정 시 투고자에게 개별 통지)
※ 제출서류 미비 또는 제출서류 심사결과 형식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거나 논문작성요령을 준수하지 않은 논문은 심사대상에서 제외
❍ 선정된 논문(입상작)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발행하는 등재학술지『선거연구(The Study of Election)』(제21호)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 참가신청서, 원고작성요령, 논문연구윤리 확인서 및 논문사용권 등 위임 동의서는 별지 서식 또는 선거연수원(http://www.civicedu.go.kr)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별지 1. 논문 공모전 참가신청서(서식)
2. 개인정보 처리 동의서(서식)
3. 논문 연구윤리 확인서, 논문사용권 및 복제·전송권 위임서(서식)
4. 원고작성요령
5. 『선거연구』수록논문 논제 현황
[별지 1]
논문공모전 참가신청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이 주최하는 선거·정치제도 개선을 위한 논문공모전에 참가하고자 다음과 같이 참가신청서를 제출합니다.
※접수번호 |
|||||
응모자 |
성 명 |
한글(한자) : |
영문 : |
||
소 속 (대학, 학과, 직위) |
|||||
상시연락가능한전화번호 및 이메일 |
전화① : |
전화②(예비) : |
|||
E- Mail : |
|||||
논문제목 |
국문 |
||||
영문 |
|||||
논문의 분야 |
|||||
비고 |
(논문과 관련하여 기타 언급할 사항 등) |
2024년 월 일
신청자: (자필서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장 귀하
[별지 2]
개인정보 처리 동의서
수집‧이용 목적 |
▪ 『선거연구』 논문공모전 참가신청서 관리 등 『선거연구』 논문공모전에 관한 행정사항 추진에 필요한 원활한 의사소통 ▪ 『선거연구』 메일링 서비스* 제공 * 2024년 중 실시 예정으로, 『선거연구』 게재 논문 소개와 공모 일정 등 관련 정보, 선별된 선거연수원 연구자료 등을 이메일 주소로 제공 |
|||
수집하는 |
▪ 이름 |
▪ 이메일주소 |
▪ 연락처 |
▪ 휴대전화 |
▪ 소속기관/단체명 |
▪ 부서명 |
▪ 직위/직책 |
||
보유‧이용 기간 |
3년 |
|||
보유‧이용 근거 |
▪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제2항1~4호 ▪ 선거관리위원회 개인정보 보호지침 제6조제1항1호 |
|||
개인정보 수집 동의 거부의 |
▪ 선거연수원은 『선거연구』관련 사무수행에 필요한 연락을 위해 위 정보를 수집하여 활용하고자 하나 신청자는 이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 다만 미동의하시는 경우 참가신청서 작성자(신청자)와 연락하기 위한 정보가 선거연수원에 부존재하므로, 참가신청서의 수정‧보완사항 및 『선거연구』 논문 투고에 관한 안내 등 『선거연구』 발간에 관한 연락을 선거연수원으로부터 받을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신청자는 『선거연구』 메일링 서비스 수신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그 수신거부에 따른 불이익은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
추가 수집 항목 |
없음 |
|||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하십니까? □ 동의함 □ 동의하지 않음 |
||||
『선거연구』 메일링 서비스 수신에 동의하십니까? □ 동의함 □ 동의하지 않음 |
본인은 『선거연구』 참가신청서를 제출하면서, 상기 사항에 대해 충분히 확인하였으며, 참가신청서에 기재된 본인의 개인정보를 선거연수원이 수집‧이용 등 처리하는 데에 동의합니다.
2024년 월 일
신청자: (자필서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장 귀하
[별지 3]
논문제목 : |
논문 연구윤리 확인서
저자(들)은 아래의 사항에 대하여 확인합니다.
1. 투고논문이 창의적이며 다른 논문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았습니다.
2. 저자는 투고논문의 작성에 실제적이고 지적인 공헌을 하였으며, 투고논문의 내용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합니다.
3. 투고논문은 타인의 명예 등 권리를 침해하지 않았습니다.
4. 투고논문은 과거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다른 학술지에 중복 게재를 위하여 투고하지 않았고 투고할 계획이 없습니다.
논문 사용권 및 복제‧전송권 위임서
저자(들)는 본 논문의 논문사용권 및 복제ㆍ전송권을『선거연구』발행에 필요한 범위 내에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위임하며, 논문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발행하는『선거연구』에 게재될 경우 저작재산권 양도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우선 협의합니다.
2024 년 월 일
저 자 |
성 명 |
소 속 |
이 메 일 |
연 락 처 |
서 명 |
제1저자 |
|||||
공동저자 |
|||||
교신저자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장 귀하
[별지 4]
원 고 작 성 요 령
I. 원고의 길이
1. 원고의 전체 분량은 200자 원고지 150매를 기준으로 하되, 최대한 200매를 넘지 못한다.
2. 국문 요약은 제목과 저자명, 소속을 포함하여 200자 원고지 3매를 넘지 못한다.
3. 영문 요약은 영문 제목과 저자의 영문명, 소속을 포함하여 200단어를 넘지 못한다.
II. 원고의 구성
1. 원고는 표지, 국문 및 영문(로마자)의 제목, 저자, 국문 및 영문 요약, 주제어, 본문, 각주, 참고문헌, 표 및 그림으로 구성된다.
※ 논문명(제목), 저자, 초록, 주제어의 경우 반드시 국문과 외국어로 표기되어야 하되, 외국어 표기는 로마자 표기는 필수로 하며, 논문명과 저자명을 2종 이상의 외국어를 병기하는 것은 가능함.
2. 표지는 논문의 제목과 저자명, 소속,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를 적는다(저자는 제1저자를 제일 처음 명기하며 공동저자는 논문기여도를 고려하여 가나다 순서로 명기한다).
3. 본문은 새로운 면에서 제목을 쓴 후 시작한다. 본문의 장, 절, 항의 번호는 I, 2, 3), (4), 가), (나), i)의 예에 따라 순차적으로 매긴다.
4. 인용저서나 논문은 본문 가운데 [ 저자 연도, (필요한 경우) 쪽수) ]의 형식을 사용한다.
5. 각주는 본문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이나 관련된 논의의 소개가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며 가능한 한 짧게 한다. 각주 내에서 각주의 번호는 본문 좌단과 일치시키되 둘째 줄부터는 첫째 줄 각주번호 뒤에 나오는 첫 글자와 일치시킨다.
6. 참고문헌은 새로운 면에서 <참고문헌>이라는 제목을 단 후 시작한다.
7. 표와 그림은 본문 내 해당 위치에 <표 1> 혹은 <그림 1>과 같은 형식으로 순서를 매겨 삽입한다. 표나 그림의 출처는 표나 그림의 바로 아래에 “출처: ” 라고 쓴 후 기재한다.
8. 원고 작성의 세부지침은 다음과 같다.
1) 글 꼴: 제목(굴림), 요약(중고딕), 장(견명조), 절(굴림), 항(굴림), 목(굴림),
본문(신명조), 참고문헌(견명조)
2) 글자크기: 제목 20, 요약 9.5, 장 15, 절 15. 항 13, 목 10.5, 본문 10, 참고문헌
10(장평 100, 자간 0)
3) 편집모양: 위쪽 20, 아래쪽 20, 왼쪽 30, 오른쪽 30, 머리말 12, 꼬리말 12,
제본 0
4) 문단모양: 왼쪽 0, 오른쪽 0, 줄간격 160, 문단 위 0, 문단 아래 0, 들여쓰기
3, 정렬방식 양쪽혼합, 낱말방식 0
III. 출전표시 요령
1. 출전은 본문 및 각주의 적당한 위치에 괄호하고 그 속에 저자의 성(한글로 표기된 한국, 중국, 월남 인명은 성명), 출판연도, 필요한 경우 면수를 적어서 표시한다.
2. 같은 문헌을 다시 언급하는 경우에도 처음과 같은 요령으로 처리한다.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같은 글”, “같은 책”, “앞의 글”, “앞의 책” 등의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다.
3.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1) 저자명이 글(본문과 각주) 에 나와 있는 경우는 괄호하고 그 속에 출판 연도를 표시한다.
예) 홍길동(2020)은
2) 단 외국문헌의 경우는 괄호 속에 외국어로 표기된 성과 출판연도를 함께 표기한다.
예) 무어(Moore 2020)는
3) 저자명이 글에 나와 있지 않은 경우는 성(한국어로 표기된 한국인명과 한자로 표기된 중국명)과 출판연도를 괄호 속에 표기한다.
예) (홍길동 2020), (Moore 2020)
4) 면수는 필요한 경우 출판연도 다음에 쉼표를 하고 숫자만 표기한다.
예) (홍길동 2020, 22)
5) 저자가 2명 이상인 경우는 한 저자의 이름만 표기하고 한 칸을 띄운 다음 “외”를 붙여 저자가 두 사람 이상임을 나타낸다.
예) (홍길동 외 2020)
6) 한 번에 여러 문헌을 언급해야 하는 경우에는 한 괄호 안에서 세미콜론으로 나누어 언급한다.
예) (홍길동 2020, 18; 허생 2020, 46)
7) 대법원 판결의 경우 예) 대법원 2019.12.25.선고.○○다○○판결(결정)
8) 헌법재판소 판결은 예) 헌재 2019.12.25.2005헌바○결정
IV. 참고문헌 작성요령
1. 참고문헌은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된 모든 문헌의 자세한 문헌 정보를 <참고문헌>에서 밝힌다.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되지 않은 문헌은 포함시키지 않는다.
2. 각 문헌은 한글 문헌, 로마자로 표기되는 구미어 문헌, 기타 언어(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 등) 문헌순으로 배치하며 한글 저자명은 가나다순으로, 로마자 저자명은 알파벳순으로, 기타 언어 저자명은 발음을 괄호 안에 부기하고, 이를 가나다순으로 배열한다.
3. 같은 저자의 여러 문헌은 연도순으로 배치하며, 같은 해에 발행된 문헌이 둘 이상일 경우에는 글에서 언급된 순서에 따라 발행연도 뒤에 a, b, c 로 구분한다.
4. 각각의 문헌은 다음의 구체적인 예에서 제시된 형식에 따라 작성한다.
1) 논문, 기사 등은 따옴표(“ ”)로, 저서는 인도 ‧ 유럽어의 경우는 이탤릭체 로, 한
글 ‧ 일본 ‧ 중국어 ‧ 한문인 경우는 이중꺽쇠( )로 표시한다.
2) 페이지는 숫자만 표기한다.
3) 각 문헌의 첫줄은 다섯 칸 내어 쓴다(hanging indentation).
가. 저서
김용호. 2001. 한국 정당정치의 이해. 서울: 나남출판.
Rohde, David W. 1991. Parties and Leaders in the Postreform Hous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나. 학술지 논문, 기명 기사
정진민. 2000. “1980년대 이후 미국 정당정치의 변화: 정당일체감과 세대요인을 중심으 로.” 한국정치학회보 34- 1. 237- 254.
Jilberto, Alex E. Fernandez. 1991. “Military Bureaucracy, Political Opposition and Democratic Transition.” Latin American Perspectives 18, No.1. 32- 65.
다. 학회에서 발표한 논문(proceeding)의 경우
김민주. 1988. “한국 민주주의와 시민사회 이론.” 한국정치학회 춘계학술대회. 서울. 5 월
Haggard, Stephen. 1996.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in Korea.” International Science Association. San Diego. U.S.A. September.
라. 학위논문
홍길동. 1995. “조선 후기 민란의 도덕 경제.” 집현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Doe, John. 1988. “The Social Banditry in Late Imperial China.” Ph. D. Diss., Robin Hood University.
마. 편집된 책 속의 글
(1) 편집자가 밝혀진 경우
장노자. 1991. “국가권력과 시민사회.” 김서방 ‧ 연놀부 ‧ 이어도 편. 국가 이론의 재조 명. 232- 264. 서울: 호박사.
Schydlowsky, Daniel M., and Juan J. Wicht. 1983. “The Anatomy of an Economic Failure.” In The Peruvian Experiment Reconsidered, edited by Cynthia McClintock and Abraham F. Lowenthal. Princeton, N. 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편집자가 밝혀지지 않은 경우
관중. 1992. “자본주의 발전과 정치적 민주주의: 몇 가지 이론적 문제.” 조직자본주의 의 정치. 261- 309. 서울: 집현연구소.
바. 인터넷 자료이용
(1) 제작자, 제작연도, 주제명, 웹주소(검색일자)순으로 한다.
홍길동. 1996. “한국의 통일 정책.” http://taejon.ac.kr/kildong/kk0101. html(검색일: 2012.2.5)
(2) 분량이 많은 경우, 인용부분이 페이지로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오른쪽
바의 위치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1/10 Bar)의 뜻은 인터넷 전체 자료의 십분의 일에 해당한다는 뜻이다.
홍길동. 1996. “한국의 통일 정책.” http://taejon.ac.kr/kildong/kk0101. html(검색일: 2012.2.5). (1/10 Bar).
5. DOI(Digital Object Identifier)가 있는 학술지 논문의 경우 DOI 기재
V. 기타사항
1. 논문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한자는 혼란의 우려가 있을 경우 사용하되 한글을 먼저 쓰고 괄호 속에 한자를 부기한다. 예) 지체주의(肢體主義)
2. 통일된 역어가 존재하지 않는 외래용어의 경우 처음에 한하여 한글역어를 적고
괄호 안에 외래용어를 부기한다. 예) 조합주의(corporatism)
3. 외국인명은 외래어 표기법 기준에 따라 현지 발음대로 표기하며 처음에 한하여 한글표기에 이어 괄호 속에 원어명을 부기한다. 예) 마오쩌둥(毛澤東), 애덤 스미스(Adam Smith)
4. 공모 논문은 심사를 통해 우리위원회가 발간하는 선거연구에 게재 예정이므로
1) 선거연구에 게재할 논문은 독창성을 갖추어야 하며 다른 학술지에 게재되었거나 게재 신청되지 아니한 것이어야 한다.
2) 선거연구에 게재된 논문의 저작재산권 양도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우선 협의한다.
[별지 5]
『선거연구』 수록논문 논제 현황
제 호 |
논 제 |
제20호 (2024년 상) |
1.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대한 법정책적 연구 2. 반복되는 국회의원선거구획정 지연에 대한 절차적 개선방안 3. 그리스의 2023년 총선과 정당체제 변화: 추가의석 효과와 경제 이슈 투표 4. 공직선거법 제59조 선거운동기간 규정의 개정 경과의 특징과 시사점 : 온라인매체와 말로 하는 선거운동을 상시 허용하는 개정 경과를 중심으로 |
제19호 (2023년 하) |
1. 21대 총선에서 주요 양당의 공천 결정에 대한 경험적 분석: 정당 충성도, 이념, 제도적 요인 2. 선거구획정 기준의 다양성에 대한 모색 3. 고등학생의 선거참여 영향요인 탐색: 랜덤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하여 |
제18호 (2023년 상) |
1. 중선거구제와 제3정당의 생존: 제4∼8회 지방선거 사례를 중심으로 2. 청소년 유권자의 제20대 대통령 선거 관련 정치정보 수집 및 투표 경험 탐색 3. 선거 여론조사 뉴스 리터러시 향상 방안 도출을 위한 제20대 대통령 선거 보도 내용분석 |
제17호 (2022년 하) |
1. 사전투표, 당일투표, 그리고 유권자의 투표신임(Voter Confidence): 제20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2. 지방정치의 대안적 행위자로서 지방유권자연대체: 독일 사례의 분석과 한국에의 시사점 3. 제20대 대통령선거의 표심 분석: 신문기사의 의미연결망을 중심으로 4. 공직선거에서의‘연장자 우선’규정의 현황과 개선방향 연구 |
제16호 (2022년 상) |
1. 현행 공직선거법상 선거운동의 자유 제한 문제와 그 개선 방안 2. 2020년 미국 하원선거 선거자금 분석: 개인후원금과 후보자 이념강도를 중심으로 3. 국회의원후보 공천제도의 개선 방안 연구: 하잔과 라핫의 ‘3단계 공천 모형’을 중심으로 4. 독일 노동조합의 정치 참여에 관하여: 정당 후원금 제도를 중심으로 5. 정신적 장애인의 선거권 보장에 관한 법이론적 고찰 6. 공직선거법상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가짜뉴스 규제에 관한 연구 |
제15호 (2021년 하) |
1.“12시면 최종투표율을 알 수 있다!: 선거 당일 시간대별 투표율 분석과 예측모델 2. 제20대 국회 「공직선거법」개정 과정을 통해 본 정치관계법 개정 절차 개선의 필요성: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개정의견 제출권을 중심으로 3. 국민주권주의(헌법 제1조 제2항)와 헌법재판소의 결정: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4. 한국에서 디지털 정당의 출현은 가능한가? 5. 우리나라 일선공무원의 선거중립 실태 및 개선방안 고찰 |
제14호 (2021년 상) |
1. 누가 가짜뉴스를 접하고, 신뢰하는가?: 제21대 총선을 중심으로 2. 사전투표제도의 효과에 대한 분석: 2014년에서 2020년까지 실시된 전국단위 선거를 중심으로 3. 고3 유권자의 정치참여실태 및 요인: 21대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4. 재·보궐선거의 현황과 과제: 책임정당정치의 복원 5. 정당 간 양극화를 통해 본 유권자의 투표참여 6. 우편투표의 확대와 보통선거원칙의 실현 7. 당내 차원 및 당간 차원 효율성 제고를 위한 선거제도 개혁방안 |
제13호 (2020년 하) |
1. 공직선거법 개정에 따른 선거권 연령 하향의 현안 분석: 신문기사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2. 위탁선거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공직선거법과 위탁선거법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3. 누구를 위한 매니페스토인가?: 유권자 제안 공약과의 비교 분석 |
제12호 (2020년 상) |
1. 여성대표성 확대를 위한 할당제의 의미와 한계: 지역구선거를 중심으로 2. 중증장애인의 선거권 배제에 대한 헌법적 고찰 3. SNS 활동 및 학교 내 정치교육경험이 고등학생의 시민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4. 기후와 투표 참여: 한국의 미세먼지 문제가 선거에 미치는 효과 5. 인도 선거제도에 관한 연구: 비례대표제 도입 논의와 공정한 선거제도 시행 방안을 중심으로 |
제11호 (2019년 하) |
1. 한국 유권자들의 이타심과 정치참여 2.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대안의 모색 3. 대통령선거의 결선투표제 도입에 있어 실시요건에 관한 연구 4. 민주시민교육의 원칙에 관한 연구동향과 함의 |
제10호 (2019년 상) |
1. 비례대표 공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2.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3. 정치자금법상 정당의 정치자금제도 개선방안 4. 정치후원금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제도 및 세제의 개선방안 연구 5. 일본 선거제도 변화와 정당 간 정치 동학: 자민 ‧ 공명 연정의 지속성을 중심으로 6. 포털 선거보도의 공정성과 편집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제9호 (2018년) |
1. 한국사회 정치균열의 변화: 2005년, 2010년 및 2015년 조사결과 비교 2. 강원도 속초지역의 저항투표: 제3공화국 사례를 중심으로 3. 일본의 18세 선거권 실시과정에서 총무성 ‧ 시민단체 ‧ 정당의역할 분석과 시사점 4. 독립적 헌법기관으로서 선거기관의 탄생: 제2공화국 중앙선거위원회의 창설과 폐쇄 5. 정치자금법제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와 그 시사점: 헌법재판소 2015.12.23. 2013헌바168 결정에 대한 평석을 겸하여 6. 기탁금제도의 헌법적 타당성에 대한 검토 7.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비판적 평가와 대안모델의 탐색 8. 시민단체의 선거참여활동과 유권자의 투표결정: 제19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9. 재 ‧ 보궐선거 제도개선을 통한 선출직 공직자의 책무성 제고방안 연구 10. 드루킹 ‘댓글조작’의 형법 및 공직선거법 적용에 있어서 합헌적 해석의 필요성 11. 재외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제도적 장치 연구 12. 선거운동정보의 전송제한 법안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13. 정치참여와 사회통합: 태극기집회 참가자조사에 의거해서 |
제8호 (2017년) |
1. 제19대 대통령선거에서 나타난 유권자 기본 심리특성의 영향: 가치와 정치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2. 제19대 대통령선거 TV토론의 설득전략 연구 3. 정치참여와 소셜미디어 정보순환 효과: 2016년 촛불집회 참가자 현장설문조사를 중심으로 4 독일식 연동형 선거제도 도입의 쟁점과 과제: 초과의석 문제의 해법을 중심으로 5.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선방안: 지역주의 극복과 지방 대표성 강화를 중심으로 6. 재 ‧보궐선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7. 시민단체의 선거참여활동 평가와 활성화 방안: ‘2016 총선시민네트워크’를 중심으로 8. 사회적 갈등 비용과 선거의 갈등해결기능에 대한 연구 9. 한국 정당운영의 현황과 당내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과제 10. 역대 선거를 통해서 본 충북 지역주의의 동태와 특성 11. 미국의 선거인단제도와 부동주(swing state) 12. 2017년 프랑스 대통령선거와 정당체계 재편이 한국에 주는 시사점 13. 선거운동 제한체계 개선방안 연구 14. 선거관리 신뢰확보를 위한 시민참여 확대방안 15. 장애인 투표편의제도 개선방안 |
제7호 (2016년) |
1. 독일의 직접민주주의: 자치분권국가에서 시민입법과 주민투표의 현황을 중심으로 2. 정당법상 위헌요소에 관한 소고: 정당의 헌법상 지위를 중심으로 3. 한국 정책선거의 현황과 과제 4. 익명성 규제에 대한 헌법적 평가 및 2015년 선거법 공선법실명확인제 합헌결정에 대한 평석 5. 노르웨이 민주주의의 가치와 실천 6. 선거경합도와 투표율의 관계: 한국 역대 국회의원선거 통합분석 7. 정치개혁을 위한 협의제 민주주의의 제도개선 방향: 선거와 정당 그리고 정치자금을 중심으로 8. 순환순번제와 순서효과, 기호효과, 일렬투표의 후광효과: 2014년 기초의회의원선거 사례 분석 9. 인터넷과 SNS 선거법제의 현황과 개선방안 모색 10. 통일대비 효과적인 민주시민교육 추진방안 |
제6호 (2015년) |
1. 한국의 공명선거 발자취 2. 2014년 지방선거에서 사전투표제 평가 3. 법인 ‧ 단체의 정치자금 기부 규제에 관한 헌법적 검토: 기업의 정치자금 기부 규제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4. 전국동시조합장선거의 의의와 과제: 제1회 동시조합장선거를 중심으로 5.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혁과 권역별 비례대표제의 한국적 적용방안 6. 선거와 특별교부세 배분의 정치 비교 연구: 17대~18대 국회를 중심으로 7. 선거운동의 형평성에 관한 연구 8. 경제적 ‧ 사회적 양극화 인식이 민주주의 실현 인식에 미치는 영향성 분석 9. 지방정당의 법제화 방향 |
제5호 (2014년) |
1. 한국의 민주적 정당공천제:책임형 국민참여경선제 2. 선거여론조사 제도의 쟁점과 개선방안 3. 제6회 지방선거와 사전투표 4 민주주의와 선거: 민주주의와 대표제의 개념을 중심으로 5. 주민소환투표 사례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6. 승자독식의 선거제도 개혁을 위한 대안 모색 7. 제18대 대통령선거와 경제투표:지역별 경제투표 경향성 분석 8. 텔레비전 정치광고의 비디오 스타일에 관한 연구: 제18대 대통령선거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9. 선거관리기구의 바람직한 법적 위상에 관한 소고:최근의 헌법개정관련 논의와 관련하여 10. 투표용지의 순서효과, 기호효과, 후광효과: |
제4호 (2013년) |
1. 공천개혁과 정당모델 담론 2. 정치자금법의 위헌심사기준에 대한 연구: 법인 ‧ 단체의 정치자금 기부금지 관련결정을 중심으로 3. 유럽의회의원 선거제도 연구 4. 선거구배분과 의석할당의 측면에서 본 선거제도 개선방안 5. 선거 캠페인의 SNS를 활용한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18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6. 외국의 지방의회와 선거제도: 기초의회 남녀동석당선제도 제의 7. 추가투표소 설치를 통한 재외선거 참여율 제고에 관한 연구 8. 매니페스토 정책선거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9. 디도스(DDoS) 공격에 따른 정책의제설정에 관한 연구: 2011.10.26.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를 중심으로 10. 사전투표제의 효용성과 발전 방안 연구 11.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방안 연구:정당공천제 중심으로 |
제3호 (2012년) |
1. 정책선거화를 위한 정책타운미팅 제도의 제안 2.‘한국정당발전모델’에 대한 일고찰 3. 한국투표용지 기호배정제도 변화에 나타난 권력관계 4. 표의 등가성 확보와 비례성 제고를 위한 선거제도 대안의 모색 5. 선거방송의 공적책임을 위한 선거방송심의규정에 관한 연구 6.‘오픈프라이머리 정당약화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7. 개정민법상 피성년 후견인의 선거권 제한방안 8. 공직선거에서의 후보자 검증 활성화 방안 9. 한국의 국회의원선거의 선거공보제도에 대한 역사와 평가 10.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주민소환 사례를 통한 쟁점사항 검토 및 개선과제 11.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투표율 제고방안 연구 12. 위탁선거관리의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13. 선거교육에 있어 학생회장 선거경험의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의 14. 대통령결선투표제와 국민통합 15. 20대 투표참여와 기권 16. 지방정당 육성을 통한 지방정치구조 발전 |
제2호 (2011년) |
1. 선거민주주의의 향상을 위한 현행 주민투표법제의 개선방안 2. 합리적 투표행위와 언론의 후보자 프레이밍 3. 지역주의 완화를 위한 선거제도 개혁방안 4. 소셜 미디어와 정치 참여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압력이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중심으로 5. 텔레비전 토론의 효과연구 6. 우리나라 선거비용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7. 재외국민선거가 코리안 디아스포라 사회에 미치는 영향 : 미국, 일본, 중국을 중심으로 8. 미국의 연방선거법의 공정성 확보방안에 관한 공법적 고찰 - 우리나라 공직선거법과의 쟁점별 비교를 중심으로 9. 부재자투표제도에 관한 연구 - 우편투표 방법을 중심으로 10. 투표용지의 정치적 효과 11. 대통령후보국민경선의 선관위 위탁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 제17대 대통령후보 국민참여경선을 중심으로 12. 협력적 거버넌스(Governance) 구축을 통한 공직선거 관리방안 - 선관위와 공명선거활동 시민단체의 관계를 중심으로 13. 공직선거법상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의 개념과 적용 14.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투표참여 인식에 관한 연구 - 유권자 효능감을 중심으로 15. 기탁금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재검토와 입후보 진정성 제고 방안 16.「공직선거법」상 인터넷 선거운동 규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17. 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범죄 조사절차상에서 피조사자 및 사건관계인의 인권보장방안에 관한 연구 - 진술거부권 및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중심으로 |
창간호 (2010년) |
1. 선거관리위원회의 위상과 과제 2. 인터넷 선거운동의 자유와 한계 3. 지방자치와 공직선거 4. 정보사회에 상응하는 선거법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5. 선거쟁점 관련 찬·반활동에 대한 선거관리위원회의 규제 6. 헌법재판소 위헌법률심판의 심판대상 및 주문형식에 관한 고찰 7. 정치적 표현의 자유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8. 선거운동의 자유와 국민생활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9. 여성 후보자 추천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10. 후보자 사퇴시기별 발생하는 유권자 알권리 침해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11. 후보자 정보에 대한 유권자 알권리 강화방안 12.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선거운동 확대방안 13. 선거방송토론 제도분석과 발전방안 연구 |